명품을 처음 접하는 연령대 점점 낮아져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2023 명품 소비 관련 인식'을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인들이 명품을 처음 접하는 시기, 명품의 가장 중요한 기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
픽사베이 |
명품 시장의 대중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명품 시장이 점차 대중화되고 있고, 명품을 처음 접하는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만족을 위해 명품을 구입하는 것에 대해 공감하지만, 명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좋지 않게 바라보는 시각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7명(71.6%)이 주변에서 명품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을 보는 것이 어렵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명품 소비가 경기침체에도 대중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마음만 먹으면 명품을 구입할 수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61.5%에서 69.6%로 높아져 명품 구입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크게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품을 처음 접하는 시기 TOP 10
- 20대 직장인 45.6%
- 대학생 35.8%
- 고등학생 26%
- 30대 22.9%
- 중학생 17.6%
- 초등생 11.7%
- 40대 5.6%
- 미취학 아동 4.8%
- 50대 2.0%
- 60대 이상 0.3%
명품을 처음 접하는 점점 나이가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품을 처음 접하는 나이대로 △20대 직장인(45.6%) △대학생(35.8%) △고등학생(26%) △30대(22.9%) 순으로 많았다. 구매 여력이 없을 것 같은 △미취학 아동(4.8%) △초등생(11.7%) △중등생(17.6%) 등의 저 연령층도 상당한 비율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명품의 기준 TOP 12
- 오랫동안 브랜드 가치가 변치 않는 제품 60%, 중복응답
- 세계적 인지도가 있는 제품 47.2%
- 오랜 역사의 클래식 제품 46.5%
- 장인이 만든 제품 43.8%
- 오랫동안 사용 가능한 제품 35.8%
- 가격에 관계없이 브랜드 철학을 지켜 만든 제품 30.1%
- 최고의 원자재로 만든 제품 29.2%
- 내가 오랫동안 좋아할 수 있는 제품 28.3%
- 비싼 제품 26.8%
- 상류층이 사용하는 제품 26.6%
- 내 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제품 25.9%
-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브랜드 제품 24.6%
명품을 구입하는 적정 시기
- 30대(37.2%, 중복응답)
- 40대(49.5%)
- 명품 구입은 나이와 관계가 없다(22.9%)
명품 구입이 나이와 관계없다고 대답한 비율은 2016년 18%, 2022년 17.2%, 2023년 22.9%로 소폭 증가하였다.
2023 명품 소비 관련 인식 조사결과 요약
- 명품의 대중화 : 명품 소유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졌다.
- 10명 중 8명 : 경기가 좋지 않더라도 명품 수요는 지속될 것이다.
- 명품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준 : 오랫동안 가치가 변치 않는 브랜드의 제품(60%, 중복응답), 브랜드로 사회적 지위를 평가하는 경향은 줄었다.
- 본인 만족을 위한 명품 소비는 공감하나 명품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여전하다.
❚ 함께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