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국가 역사 역할
G7은 글로벌 경제 정책을 조정하고 여러 가지 초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7개 강대국(서방 선진국)으로 결성된 비공식 그룹이다. G7(Group of 7)은 매년 정상회의를 개최하며, 글로벌 경제, 국제 안보, 에너지 정책 등의 문제를 논의한다. G7 회원국의 총 국내총생산(GDP, 명목기준)은 세계 경제의 약 44%를 차지할 정도로 막강하다. 이번시간에는 이렇게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G7에 대해 알아보았다.
G7은 조약에 근거한 조직이 아니며, 유엔이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달리 헌장과 사무국이 있는 정식 기구가 아니다. 의장국(주최국) 매년 회원국이 돌아가며 맡으며 의장국은 정상회담 의제를 설정하고 이를 위한 준비할 책임이 있다. G7회의에 때때로 초청국, 동행 지도자 등도 참여한다.
- G2 국가 : 미국, 중국
- G5 국가 :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일본
- G7 국가 :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영국 + 유럽연합(넓은 의미로 포함)
- G20 국가 : G7, 12개 신흥국(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유럽연합(EU) 의장국
G7의 역사
1973년 G8으로 시작되었으며, 1975년에 세계 주요 국가의 정부 수반과 장관이 참여하는 비공식 포럼으로 설립되었다. 1973년 석유수출기구국가(OPEC)의 석유 금수조치(1차 오일쇼크) 등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영국, 서독이 G5를 결성했다. 1975년 2차 오일쇼크를 겪으면서 G5 정상회의로 승격되었다. 1975년 이탈리아, 1976년 캐나다가 합류하면서 G7이 되었다.
유럽 연합(EU)은 1981년부터 "비열거(nonenumerated)" 회원국으로 G7에 완전히 참여하고 있다. 1977년 당시 유럽공동체 대표들이 런던 정상회담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EU의 역할이 확장되면서 정상회담 의제에 대한 모든 논의에 점차 포함되었다. 1981년 오타와 정상회담 이후 모든 작업 세션에 참여하고 있다. 유럽 연합은 주권국이 아니라 초국가적 조직으로 "열거되지 않은(non-enumerated)" 회원국이며 순환하는 G7 의장국을 맡거나 주최하지 않는다.
러시아는 구 소련 붕괴 후 1998년부터 2014년까지 G8(Group of Eight)에 속해 있었으나 우크라이나 크림반도 합병으로 퇴출되었다. G8에서 러시아가 퇴출되고 G7 체제가 되면서 완전히 서방 강대국들의 모임이 되었다.
G7 정상회담
G7 정상회담(The Summit)은 수년에 걸쳐 글로벌 도전에 대한 정치적 대응을 형성하기 위한 플랫폼으로 발전했다. 국가 및 정부 수반의 정상회담은 G7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로 일반적으로 매년 개최된다. G7 정상들은 세계 경제, 지역 정세, 각종 글로벌 이슈 등 국제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도전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문서로 발행한다. 이는 글로벌 정책을 형성하고 영향을 미치기 위한 목적이다. G7 정상회의의 주요 의제 선정은 매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세계 경제, 정치와 관련한 문제들을 논의한다.
G7의 역할
G7 국가는 세계 경제, 정치, 사회 등의 분야에서 엄청난 힘과 영향력을 갖고 있다. 세계 경제 성장, 국제 평화와 안보, 환경문제 등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논의하고 이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한다. 최근 G7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러시아 석유 가격 상한선을 포함하여 러시아에 공동 제제를 가했다.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글로벌 인프라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마치며
2023년 5월 19일부터 5월 21일까지 히로시마에서 G7 정상회의가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도 초청받아 참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러시아 제재, 중국 군사력 증가로 인한 인도 태평양 문제 등을 주요 의제로 다루었다. G7은 중국, 러시아, 북한에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는 성명서를 발표했으며, 중국은 G7 성명서에 대해 강하게 반발을 했다.
G7 국가들이 세계 경제, 정치, 안보 등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어차피 자국의 이익을 우선시할 수밖에 없겠지만 세계 경제와 안보 그리고 환경 문제 등에 적극 나서서 전 세계가 함께 번영하는데 도움이 되길 빌어본다.
※ 면책조항 : 일반적인 정보 수집용으로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적시성, 유용성 등에 대해 어떠한 보증도 하지 않습니다.